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프로배구대회 운영 요강
제 1 조 (대회의 주최 및 주관)
주최 - 대한민국배구협회, (사)한국배구연맹
주관 - (사)한국배구연맹, 보령시체육회, 보령시배구협회
후원 - 보령시, 보령시의회, 한국도로공사
제 2 조 (경기 규칙)
경기 규칙은 한국배구연맹(KOVO) 경기규칙을 적용한다.
제 3 조 (사용구)
대회 공식 사용구는 연맹이 제공하는 스타볼 (GRAND CHAMPION VB 225-34(FIVB 공인구)로 한다.
제 4 조 (선수 등록 정원)
구단별 선수 등록 정원은 18명(외국인선수 제외) 까지로 한다. 수련선수는 등록 정원 숫자에 포함 되지 않는다.
(리베로 지명은 팀별 자율에 따라 1~2명 지명한다.)
제 5 조 (출전선수 수 및 명단 제출)
각 팀의 출전선수 수는 18명(외국인선수 제외)까지이며, 각 팀은 경기 시작 40분전까지 경기에 출전하는 벤치착석 인원 (전력분석관 포함)과
선수의 이름, 배번이 기록된 선수 명단의 출전 여부를 확인하여 KOVIS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 6 조 (예선 리그 및 결승전 방식)
- 예선리그 :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리그를 치름 / 예선리그 각 조 1, 2위팀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 4강 토너먼트 : 각조 1위팀이 상대조 2위팀과 토너먼트를 벌임 / 단판 경기로 승자가 결승전 진출한다.
- 결승전 : 4강 토너먼트 승자간 단판경기로 한다.
제 7 조 (순위결정 방식)
예선은 승수가 같을 경우 세트득실률(득 세트 ÷ 실세트), 점수득실률 (득점÷실점)순으로, 점수득실률이 같을 경우 상대전적(승자 승)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동률시에는 상대전적 승자승으로 결정한다.
- 3위, 4위는 준결승전에 패한 두팀의 세트득실률(득 세트 ÷ 실세트), 점수득실률 (득점÷실점)순으로 정한다. 동률시에는 예선 성적으로 결정한다.
제 8 조 (경기장 도착)
경기에 출전하는 팀은 경기시작 80분전에 경기장에 도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반할 경우 연맹 상벌규정에 따라 제재를 받는다.
제 9 조 (경기 시간의 엄수)
① 경기에 참가하는 팀은 정시에 경기가 시작되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② 불가항력 등의 사태 또는 중계방송 사정으로 인해 경기당일에 해당 경기장에서 경기시작 시간이 변경될 경우 경기 운영책임자는 경기 감독관, 심판 감독관, 주심의 사전 승인을 얻어 신속히 상대팀, KOVO 소관 부서, 장내 아나운서에게 통보해야 한다.
③ 불가항력 등 정당한 사유없이 어느 한 팀이 경기개시 시간 내 경기장에 출장하지 못했을 경우 주심은 경기/심판감독관의 승인을 받아 부전패를 선언한다. 단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경기/심판 감독관의 승인을 받아 최대 40분간 경기 개시를 연기할 수 있으며 다음경기의 시작시간은 자동 연기된다. 40분이 초과될 경우 부전패를 선언한다. 부전패를 선언당한 팀에게는 제재금이 부과된다.
④ 팀 관계자(감독, 코치, 선수)는 경기종료 후 또는 지정된 인원의 인터뷰 및 팬서비스 등을 종료한 후 지체없이 코트를 떠나 선수대기실로 이동하여야 하며, 경기/심판감독관 및 심판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경기 판정에 대한 말도 허용되지 않으며, 판정에 대한 언급을 위해 코트에 남아 있어서는 안 된다.
제 10 조 (페어플레이)
경기자는 페어플레이 정신에 입각하여 심판뿐 아니라 임원, 상대팀, 팀동료 및 관중에 대해서도 정중하고 예의바르게 행동하여야 한다.
제 11 조 (대회상금)
● 우승 5천만원
● 준우승 3천만원
● 3 위 3천만원
● MVP 3백만원
● MIP 1백만원
● 라이징스타상 각 1백만원
● 심판상 1백만원으로 한다.
※ MVP, MIP 은 결승전 종료 직전 기자단의 투표를 통해 현장에서 발표한다.
※라이징스타상은 준결승 종료 후 ‘전문위원회’에서 선발한다.
제 12 조 (로컬룰)
① 비디오 판독
1) 판독기법
가. 판정 모니터는 경기 감독관석에 위치하며 중계방송 화면으로만 실시한다.
나. 판정관은 경기감독관, 심판감독관, 부심 총3명이 판독한다.
다. 비디오 판독이 불가능할 경우 최초의 주심 판정만이 유효하다.
라. 판정결과는 경기감독관이 발표하며 주심은 비디오 판정에 따른다.
2) 판독절차
가. 팀은 주심 혹은 부심의 판정이 불만족스러울 경우 세트 당 1회에 걸쳐 비디오판독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심판의 오심 및 판독불가 시 동일세트에 한해 1회만 추가로 기회를 부여한다. (한 세트 요청 횟수 : 최대 2회)
나. 각 팀 감독은 주심의 판정이 있은 후 선수 교체 혹은 주심이 서브 휘슬을 불기 전에 즉시 비디오판독을 요청해야 한다. 비디오 판독의 요청은 부저를 누르고 손으로 시그널을 한 후 부심에게 비디오판독 요청 내용을 전달한다.
다. 경기감독관은 비디오판독 요청 사항에 대하여 관중에게 안내하여야 한다.
3) 판독 요청 가능 상황 (9가지)
가. 인/아웃 (외부 물체 접촉 반영)
나. 터치아웃
다. 네트터치
라. 수비 성공/실패
마. 라인폴트
바. 안테나 반칙
사. 포히트(시차가 있는 더블컨택)
아. 후위선수반칙(네트상단 공격 및 블로킹 행위)
자. 리베로전위토스(네트상단 공격 완료시)
*비디오판독요청에 따른 판독화면에서 나타난 또다른 반칙에 대해서는 판독대상에 포함 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 하나의 동작시)
4) 추가판독 제도
비디오판독 결과발표 후 상대팀은 아래의 2가지 상황에 대해서만 추가판독을 요청 할 수 있다.
*추가판독 가능 상황 (2가지)
(사례1)
A팀 : 공격 → 심판은 ‘볼 인’
B팀 : ‘볼 인/아웃’에 대한 비디오판독 요청 / 판독결과 : ‘볼 아웃’→ 심판 오심
A팀 : ‘블로커 터치’에 대한 추가판독 요청 가능
(사례2)
A팀 : 공격 → 심판은 ‘디그(or블로킹) 터치아웃’
B팀 : ‘디그(or블로킹)터치’에 대한 비디오판독 요청 / 판독결과 : ‘디그(or블로킹) 노터치’→ 심판 오심
A팀 : ‘볼 인/아웃’에 대한 추가판독 요청 가능
5) TV 중계방송이 없을 시에는 비디오 판독을 실시하지 않음.
② 각 팀 감독의 복장은 정장을 착용하여야 한다. 단, 넥타이는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③ 개인기록석 및 방송기록석은 코트 양 엔드라인 2층에 마련하며, 불가시에는 1층에 위치한다.
④ 팀 전력분석원석은 코트 양 엔트라인 2층에 마련하며, 불가시에는 1층에 위치한다. 또한 선수단과 동일한 복장을 착용하여야만 하며
팀 전력분석관 1명만 착석이 가능하다.
제 13 조 (기타)
① 본 요강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 및 현 규정에 별도로 명시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 KOVO 대회운영요강 및 FIVB 규칙(2017-2020 FIVB 규칙 변경사항 적용)을 따른다.
※ 별 첨
[인터뷰 방식]
① 경기 전/후 감독 인터뷰 실시
대회개요 안내 표로 첫 번째 행은 일시, 두 번째 행은 장소, 세 번째 행은 팀 구성 원칙을 나타냅니다.
구분 |
시간 |
장소 |
1경기 팀 |
2경기 팀 |
주관방송사 인터뷰 |
경기 70분전 |
1경기 종료 후 |
코트 |
원정팀 감독 인터뷰 (일간지, 인터넷 등) |
경기 60분전 |
1경기 2세트 종료후 |
인터뷰실 |
홈팀 감독 인터뷰 (일간지, 인터넷 등) |
경기 50분전 |
경기 후 인터뷰 |
감독 : 패장 → 승장순 선수 : 기자단 취재 요청에 따른 인원 |
인터뷰실 |
※ 2경기팀 인터뷰는 경기시간과 상황에 따라 탄력적 운영